논문에서 다른 이의 글이나 생각을 빌어 와서 연구자 자신의 주장이나 이론을 정당화시키고 입증하는 행위를 말한다.
직접인용 | 원문을 그대로 차용하는 인용 방법 |
간접인용 | 다른 사람의 글을 원문대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작성자의 견해나 이론을 원용하여 풀이하거나 그 내용을 활용하는 인용 방법 |
직접인용이 필요한 경우 |
|
간접인용의 기술 방법 |
|
직접인용 시 주의사항 |
|
|
인용은 1차 자료로 하는 것이 원칙이나 부득이 타인이 인용한 것을 재인용할 경우 정해진 양식에 의해 재인용임을 밝혀야 한다.
예) 서수환(1990 : 안수찬, 2017 재인용)은 ◯◯◯◯◯ ◯◯◯을 제시하였다(서수환, 1990: 안수찬, 2017 재인용). |
논문의 작성과정에서 차용된 타인의 의견이나 주장이 기록되어 있는 출처를 밝히는 것으로 인증은 논문의 주(註)와 참고문헌을 통해 이루어진다.
논문내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사항이면서 본문에 삽입하여 취급하기에는 다소 부적절하며 본문에 삽입함으로써 오히려 본문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는 내용을 본문과 따로 떼어 취급하는 부분
1. 인증(정보의 출처) |
2. 본문 내용의 추가적인 해설 및 설명 |
3. 본문의 다른 부분에 있는 내용 참조 |
내주(본문주) | 본문 내의 인용 또는 참조를 준 해당 내용 바로 옆의 괄호 안에서 주를 처리하는 방식 |
각주(Foot Note) | 책의 아랫단 여백에서 주를 처리하는 방식 |
후주(미주) | 본문이 끝난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주를 일괄 처리하는 방식 |
|
서지기술의 양식은 지역,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논문 제출기관의 규정에 따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서지기술 양식 바로가기
|
|
|
서지기술에 쓰는 약어
■ et. al(等) : 저자가 4인 이상인 자료에 대해서 대표저자 한명만 나타내고 ‘등’이라는 표시로써 저자를 전부 기록하는 것을 줄일 때 |
|
![]() |
Chicago Style은 20세기 초 Chicago University 출판부가 저서와 논문을 출판 하는 과정에서 체제와 형식을 체계화하기 위해 작성한 한 장 분량의 기준이 모태가 되었다. Chicago Style은 각주 및 내주의 두 가지 방식을 제공한다. 각주(notes and bibliography)는 인문학 분야에서 선호하고, 내주(author-date)는 자연과학, 사회과학 분야에서 선호 한다. http://www.chicagomanualofstyle.org/tools_citationguide.html |
각주는 본문에 인용된 순서대로 표시하고, 참고문헌은 문자순 또는 단어순 배열에 따라 연도를 뒷부분에 기재하여 리스트를 만든다.
[본문 내 인용]
...증가현상을 나타낸다.2) 또한 고온에서의 운동시에는 동일 운동 강도를 기준으로 상온에 비해서 에너지소비량 및 산소섭취량이 증가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3)...
[각주]
2) D. S. LeBlanc and B. Girard,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Adaptation to Cold in Man,” J. Appl. Physiol. 39, (1975): 31-32.
3) J. H. Wilmore and D. L. Costill, Physiology of sport and Exercise, 2nd ed. (IL: Human Kinetics, 1999), 155.
[참고문헌]
2. LeBlanc, D. S. and B. Girard,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Adaptation to Cold in Man,” J. Appl. Physiol. 39, (1975): 31-35.
3. Wilmore, J. H. and D. L. Costill, Physiology of sport and Exercise, 2nd ed. IL: Human Kinetics, 1999.
(저자 연도, 페이지)로 본문 내에 인용하고, 참고문헌은 저자명 순으로 연도를 앞 부분에 기재하여 리스트를 만든다.
[내주]
(Welch 2002, 145)
(Weinstein 2009, 452-53)
[참고문헌]
Weinstein, Joshua I. 2009. "The Market in Plato's Republic." Classical Philosophy 140: 439-58.
Welch, Jack. 2002. 미래경영. 이재규 옮김. 서울: 청림.
![]() |
MLA 양식은 미국현대어문학협회(Modern Language Association of America)에서 만든 영어권에서 널리 쓰이는 영어 문서 작성 양식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크기 12포인트의 Times New Roman 글꼴을 사용하며 줄 간격을 2.0으로 작성하고 페이지 설정은 상하좌우 1인치로 공백을 주나, APA와 달리 Times New Roman이 아니더라도 ‘알아볼 수 있으며 이탤릭체와 일반글꼴의 차이가 보이는’ 글꼴이 사용될 수 있다. MLA 양식은 각주(Footnote)와 내주(In-Text Citation; 본문 내 인용)의 두 가지 방식을 제공한다. 각주와 본문 내 인용 방식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저자명 알파벳순으로 정리하여 리스트를 만든다. |
[본문 내 인용]
이광우1) 는 ... Kandel과 Squire2)는 ...
[각주]
1) 이광우, 신경과학 (서울: 범문사, 2004) 153.
2) E. R. Kandel and L. R. Squre, "Neuroscience: Breaking down Scientific Barriers to the Study of Brain and Mind," Science 290 (2000): 1115.
[내주]
(이광우 153).........(Kandel and Squire 1115)
[참고문헌]
김승환. “DDC 19판 사용에 다른 한국 및 동양관계 주제전개 연구.” 논문집(강남대) 16 (1986): 599-621. 인쇄물.
이광우. 신경과학. 서울: 범문사, 2005. 인쇄물.
Chan, Lois Mai, et. al.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 Practical Guide. 2nd ed. New York: Forest Press, 1996. Print.
Kandel, E. R. and L. R. Squre. “Neuroscience: Breaking down Scientivic Barriers to the Study of Brain and Mind,” Science 290 (2000): 1113-120. Print.
Mitchell, Joan S. “Options in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System: the Current Perspective.” Cataloging &Classification Quarterly 19.3 (1995): 89-103. Print.
![]() |
APA 양식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가 정한 문헌 작성 양식이다. 주로 사회과학 분야(심리학, 교육학 등)에서 많이 사용하며, 일부 자연과학 분야(생물학, 식물학, 지구과학)에서도 사용한다. APA 양식은 본문에는 저자-연도 형식(author-date citation)으로 인용하고, 논문 끝의 참고문헌 목록을 저자의 성 알파벳순(가나다순)으로 정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
[본문 내 인용]
(Shotton, 1989)
[참고문헌]
Shotton, M. A. (1989). Computer addiction? A study of computer dependency. London, England: Taylor &Francis.
[본문 내 인용]
(김선양, 김신일, 김지자, 손직수, 이돈희, 1984, p. 17)
(김선양 등, 1984, p. 17)
[참고문헌]
김선양, 김신일, 김지자, 손직수, 이돈희(편). (1984). 韓國社會와 敎育. 서울: 교육과학사.
[본문 내 인용]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1977, p. 18)
(IMF, 1977, p. 23)
[참고문헌]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1977). Surveys of African economies: Vol. 7, Algeria, Mali, Morocco, and Tunisia. Washington DC.: Author.
[본문 내 인용]
(Hemingway, 1956/1959)
[참고문헌]
Hemingway, E. (1959).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김형일, 옮김). 서울: 동학사. (원서출판 1956).
[본문 내 인용]
(Haybron, 2008, p. 37)
[참고문헌]
Haybron, D. M. (2008). Philosophy and the science of subjective well-being. In M. Eid &R. J. Larsen (Eds.), The science of subjective well-being (pp. 17-43). New York, NY: Guilford Press.
[본문 내 인용]
(조태진, 1996, p. 20)
[참고문헌]
조태진. (1996). 절리암반의 역학적 특성 분석을 위한 역해석 모델 개발. 한국암반공학회지: 터널과 지하공간, 6(1), 19-29.
[본문 내 인용]
(Kandel & Squire, 2000, p. 115)
[참고문헌]
Kandel, E. R. and Squire, L. R. (2000, November 10). Neuroscience: Breaking down scientific barriers to the study of brain and mind. Science, 290(5494), 113-120.
[본문 내 인용]
(Wolchik et al., 2000, p. 844)
[참고문헌]
Wolchik, S.A., West, S.G., Sandler, I.N., Tein, J., Coatsworth, D., Lengua, L., et al. (2000).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ory-based mother and mother-child programs for children of divor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5), 843-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