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출 기간 |
|
원문파일 제출 |
|
인쇄본 제출 |
|
제출 서류 |
|
학위논문 제출 시스템 (dCollection)을 통하여 제출
※ 학위논문 제출 방법 교육 실시
"제출자 로그인 인증"을 한 후 로그인 가능
① dCollection 메인 페이지 상단의 ‘로그인’ 클릭 → ② 제출자 로그인 화면의 ‘제출자 로그인 인증’ 클릭 → ③ 인증을 위한 ID(학번)/이름/메일주소 입력 후 확인 버튼 클릭 → ④ 입력한 메일 주소로 인증을 위한 메일 발송 → ⑤ 해당 메일에서 '인증 URL' 클릭 → ⑥ 제출자 비밀번호 설정 페이지에서 비밀번호 설정 후 확인 버튼 클릭 → ⑦ 로그인 |
① dCollection 메인 페이지 상단의 ‘자료제출’ → ② ‘학위논문제출’ 클릭 → ③ 제출 컬렉션 선택 → ④ 제출자정보 수정/확인 → ⑤ 메타정보(논문 서지사항) 입력 → ⑥ 저작권 동의 및 라이선스 범위(CCL) 선택 → ⑦ 원문파일 등록 → ⑧ 제출 확인 → ⑨ 관리자 승인 |
제출 방법 |
|
제출 권수 |
|
제출 장소 |
|
구 분 | 제출 서류 | 제출 서류 내용 |
필수 |
학위논문 제출 확인서 1부 |
|
필수 |
학위논문 저작물 온라인 이용 허락서 1부 |
|
해당자 |
학위논문 공개 유예 사유서 1부 |
|
학위논문 저작물 온라인 이용을 비동의 하더라도 인쇄본은 본교 도서관,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열람이 가능하며 본교 도서관 내에서는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 |
특허 출원, 해외학술지 게재, 도서 출판 등의 사유로 인하여 일정기간 동안 학위논문의 공개를 유예해야 하는 경우, 원문 온라인 이용 동의 또는 비동의와 관계없이 반드시 ‘학위논문 공개 유예 사유서’를 제출해야 함. |
원문파일은 변환 및 검증 거쳐 일괄적으로 학기 초에 온라인상으로 서비스되므로 유예기간 설정(원문서비스 시작일 설정)에 유의할 것 |
유예기간 동안(원문서비스 시작일 이전)에는 도서관 홈페이지 및 RISS,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에서 본인의 논문이 모두 검색이 되지 않음을 미리 양지하여 지도교수와 충분한 논의 후 신중하게 기간 설정을 할 것 권장 (통상적 유예기간은 1년) |
유예 논문의 유예기간 만료 후 인쇄본은 본교 도서관,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열람이 가능하고, 제출된 원문파일은 온라인 이용 동의 또는 비동의에 따라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함 |
|
||||
|
||||
|
||||
|
||||
|
||||
|
||||
|
||||
|
||||
|
|
|
|
|
|
|
|
구 분 | 공 개 | 비공개 | |||
동 의 | 공개 유예 | 비동의 | 관내보기 공개 유예 | ||
학위논문 제출 | 원문파일 제출 |
dCollection을 통한 제출 / 2023년 6월 26일(월) ~ 2023년 7월 7일(금) 까지 |
|||
인쇄본 제출 | 하드커버 3부(1부 인준지 원본 포함) / 각 대학원 일정에 따라 제출 | ||||
제출서류 | 제출 확인서 (dCollection >제출내역에서 출력) |
O | O | O | O |
학위논문 저작물 온라인 이용 허락서(저작권 동의서) (dCollection >제출내역에서 출력) |
O | O | O | O | |
학위논문 저작물 온라인 이용 허락서(비동의자용) | X | X | O | O | |
학위논문 공개 유예 사유서 | X | O | X | O | |
원문공개 게시일 설정 |
원문 게시일 설정 | X | 원문 게시일 설정 | X | 관내 게시일 설정 |
공개 여부 |
인쇄본 공개 여부 | 공개 | 원문공개 게시일까지 미공개 | 공개 | 공개 |
원문파일 공개 여부 | 공개 | 원문 게시일 이후 공개 | 즉시 관내보기 허용 | 관내보기 게시일 이후 관내보기 허용 |
중앙도서관 자료열람실
|
※용지크기: 가로19cm 세로 26cm
유의! A4 크기의 용지 아님
※용지설정 확인 후 작성 요망
※졸업년월 표기
(국문) 2023년 8월
(영문) August, 2023
참조용 템플릿 파일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