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註)란?
논문내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사항이면서 본문에 삽입하여 취급하기에는 다소 부적절하며 본문에 삽입함으로써 오히려 본문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는 내용을 본문과 따로 떼어 취급하는 부분
주(註)의 내용
1. 인증(정보의 출처)
|
2. 본문 내용의 추가적인 해설 및 설명
|
3. 본문의 다른 부분에 있는 내용 참조 |
주(註)의 종류
내주(본문주) |
본문 내의 인용 또는 참조를 준 해당 내용 바로 옆의 괄호 안에서 주를 처리하는 방식 |
각주(Foot Noe) |
책의 아래단 여백에서 주를 처리하는 방식 |
후주(미주) |
본문이 끝난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주를 일괄 처리하는 방식 |
주(註) 처리의 기본원칙
- 주의 처리를 각주, 내주, 후주 중 어떤 방식을 선택할 것인지를 미리 결정한다(논문 제출처의 규정대로)
- 주가 두 개 이상일 경우, 주의 표시는 연속적인 기호나 문자를 사용해야 하며 대개 주가 10개 이상일 경우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는 것이 무난하다.
- 본문에 표시한 주의 일련번호와 주에서 기술되는 일련번호는 반드시 일치되어야 한다.
- 각주에서의 인용주를 달 경우, 서지사항은 양식에 의해 정확하게 기술한다.
- 본문에서의 주 표시는 윗첨자를 사용한다.
- 본문에서의 주 표시는 구두점 다음에, 괄호밖에 표시한다.
- 직접인용일 경우 원저자의 이름 뒤에 주 표시를 한다. .
|
주(註)의 서지사항 기술
서지기술의 양식은 지역,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논문 제출기관의 규정에 따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지기술에 쓰는 약어
■ et. al(等) : 저자가 4인 이상인 자료에 대해서 대표저자 한명만 나타내고 ‘등’이라는 표시로써 저자를 전부 기록하는 것을 줄일 때
■ n. d. : 출판년도 미상(no date)
■ ed. : edition
■ tr : translator
■ Jl. : Journal
■ vol. no.
|
참고문헌의 처리
- 인용된 자료들은 주에서 표시되나, 인용이 되지 않았으나 연구를 구상하거나 논문의 생성과정에서 도움을 준 자료들은 참고문헌을 통해 제시된다.
- 자연과학 분야의 논문은 인용된 내용을 주에서 처리하지 않고 인용된 본문의 해당 부분에 일련번호의 주 표시만 하고 자료는 참고문헌에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 학위논문의 경우 참고문헌은 장을 달리하여 새로운 페이지에서 기술하나, 학술논문의 경우 본문 마지막에 기술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