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 취득을 목적으로 어떠한 주제에 대해 저자가 자신의 학문적 연구 결과나 의견, 주장을 논리에 맞게 풀어 써서 일관성 있고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쓴 글
논문예비계획서를 통해 연구에 대한 논리적인 일관성을 유지, 논문이 완성되었을 때의 예상되는 내용, 구체적인 조사방법, 참고자료의 규모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논문예비계획서에 포함되어야할 내용은 아래와 같다.
구 분 | 작성 내용 |
권두 |
표지 (Cover) 속표지 (Title Page) 인준지 (Approval Sheet)목차 (Contents) 표목자 (List of Tables) 그림목차(List of Figures) 부록목차(List of Appendix) 초록(Abstract) |
본문 |
서론 본론 결론 |
권말 |
참고문헌(Bibliography, Reference) 부록 (Appendix) 감사의 글 (Acknowledgement) |
목차는 논문내용의 계층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조화 되어야 하며 장, 절, 항의 3단계까지만 기술한다.
![]() |
<목차 구성의 예시> |
1. 서론
2. 본론
3. 결론
표의 사용 목적은 문자에 의해 표현되는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항목간의 관계가 명확하게 작성한다.
1. 표의 위치
2. 표의 모양
3. 표의 제목 붙이기
예) 표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Chart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표 1> 2017년 도서구입비 집행 현황
1. 그림의 위치
2. 그림의 작성 요령
예) “그림 1.”, “圖 2.”, “fig 1.”
예) “그림 1.”, “지도 1.”, “사진 1.”
인용이란 다른 이의 글이나 생각을 빌어 와서 연구자 자신의 주장이나 이론을 정당화하는 행위이다. 아무리 사소한 부분이라 하더라도 타인의 논문에서 인용한 것이라면 인용의 근거를 정확하게 맞추어 출처를 밝혀야 한다.
주는 본문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하며 본문의 하단에 작성한다.
본문에서 인용한 모든 참고문헌은 논문의 말미에 모두 기술하여야 한다.
자세한 인용법은 참고문헌 인용 참조 |
초록의 내용은 간결하게 연구 목적, 연구방법, 결과의 핵심적은 부분과 제언으로 작성한다.
초록은 본문에 사용한 언어로 작성한다.
한글 논문에는 외국어(영어) 초록을, 외국어 논문에는 한글초록을 권말에 추가할 수 있다.
본문에서 작성하기 번잡한 자료나 보충적인 성격을 내용을 기술한다. 경우에 따라 표나 그림을 부록으로 모아서 본문을 간결하게 하기도 한다.
감사의 글은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한 페이지 분량으로 논문 작성에 도움을 주신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현한다.
학위논문 규격에 따른 템플릿 파일
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용지크기: 가로19cm 세로 26cm
유의! A4 크기의 용지 아님
※용지설정 확인 후 작성 요망
※졸업년월 표기
(국문) 2022년 2월
(영문) February, 2022
[일반대학원 학위논문 규격 및 양식에 준해서 작성한 참조용 템플릿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