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리베이트사는 해마다 JCR(Journal Citation Report)를 업데이트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학술 저널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광범위한 연구 지표와 통계 및 시각화 자료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규모의 글로벌 인용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인 웹오브사이언스 핵심컬렉션(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의 2019년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표한 2020 JCR의 주요 내용과 새로운 기능을 살펴보겠습니다.

<2020년 JCR의 주요 내용>
1. JCR에 선정된 저널
2020 JCR에는 전세계 83개국 236개 연구 분야의 과학 및 사회과학저널들이 선정되었고(SCIE 9,370건, SSCI 3,486건) 작년과 비교할 때 총 351건(이 중 178건이 OA 저널)이 새롭게 추가되어 약 12,000건 이상의 저널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 오픈 액세스 모델에 대한 새로운 통계 데이터
주목할 만한 새로운 기능으로는 오픈 액세스 모델에 대한 통계 데이터 제공이다. 각 저널의 논문을 각각의 액세스 모델별로 보여주고 전체 저널 논문과 인용 규모 대비 구독 및 재사용이 허용된 논문(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gold open access)가 기여하는 영향력을 공개함으로써 투명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2020 JCR에서 제공하는 골드 오픈억세스 저널은 1,600여건이 넘는다. 또한 7,487 건의 하이브리드 저널을 통해 기존 구독 방식 모델을 통해 출판된 논문수와 새로운 일반 저작권 방식으로 출판된 논문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저널 선정의 객관성 유지
저널 선정의 신뢰성과 객관정 유지를 위해, 지나친 자기 피인용(Self-citation) 혹은 인위적으로 인용을 높이는(Citation stacking) 증거가 있는 저널 등, 비정상적인 인용 활동이 드러난 33개의 저널(전체 저널의 0.27% 해당)을 제외시켰다. 또한 저널 중 저널 임팩트 팩터에 있어 비정상적인 패턴 혹은 왜곡 사례가 의심되는 논문이 최소 한 건이라도 발견된 15개의 저널에 대해서도 주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례를 지속적으로 검토할 추가적인 심사 조치를 개발할 예정이다.
2020 First time Journal Citation Reports inclusion list
*출처 : 클래리베이트 코리아
<경희대학교 도서관 JCR 이용방법 >
1. 경희대도서관 홈페이지 > Find it > 학술DB > JCR (InCites Journal Citation Reports) '클릭'
- https://openlink.khu.ac.kr/link.n2s?url=https://jcr.clarivate.com
2. 경희대도서관 홈페이지 > Research > 연구-학습지원 > 학술지 분석서비스(S2Journal) > JCR(Impact Factor) 랭킹-바로가기 '클릭'
- https://library.khu.ac.kr/seoul/journal_analys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