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학생 안내   |   Turnitin 2023-2학기 클래스 안내    
Skip to Main Content

Open Access(오픈 액세스)

Open Access(오픈 액세스)는 "학술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이용" 이라는 개념으로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어디서든지 각종 연구성과물들을 출판과 동시에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적 운동이다. 따라서 법적, 경제적, 기술적 장벽 없이 연구 성과물의 생산자와 이용자가 정보를 공유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학술정보는 금전적인 수익창출보다는 널리 활용되어 그 업적을 해당 분야에서 인정받도록 하는 사회적 합의가 바탕이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용자는 물론 연구 생산자까지도 고비용, 저작권, 비표준화 등으로 인해 정보와의 접근이 어려우며 따라서 학술활동에 큰 장애가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오픈 액세스가 활성화 되면,

연구자(저자)는 본인의 연구 결과물을 보다 쉽게 전세계 학술커뮤니케이션에 알림으로써 연구의 가시성 및 영향력을 높일 수 있다.

도서관은 학술지 구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식정보 중계자로서 자관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물을 보존할 수 있다.

정부 및 공공기관은 정부 및 공공기관의 연구기금으로 생산된 연구성과물들의 디지털 보존체제를 구축하여 대국민 공공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다.

출판사 및 학회는 기존 학술지 구독료에 의존하던 수익모델에서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으며 무료이용이 확대될수록 출판사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http://www.oak.go.kr/about/aboutOak.do?menuSeq=80 / 2019.11.19 열람 >

Open Access

 논문출판비용(APC) 할인 지원

우리 도서관에서 구독하는 품목 중에 OA 저널 APC 할인 지원은 아래와 같습니다.

 

ACS
(American Chemical Society)
  • 유형 : 저널 구독 기관 할인 (ACS All Publication 구독 중)
  • ACS journals 에 오픈 액세스로 논문 투고시 논문 출판비용 할인
    • 교내에서 논문제출 시 기관명 선택
  • ACS Publications OA
Cambridge Journals

De Gruyter Journals

(KERIS 지원 시범사업)

  • 유형 : 국내 대학 대상 연간 30건 €2,000 상당의 APC 무료지원
    • KERIS 대학라이선스를 통한 APC 지원 시범사업임
    • 지원대상 : De Gruyter 저널 투고를 원하는 국내대학 소속 연구자
    • 저널 투고 시점에 신청 가능하며, 선착순 마감 시 자동 종료
  • 지원 기간 : 2023년 7월 ∼ 2024년 6월
  • 대상저널 : De Gruyter Journals Full Collection 하이브리드 저널 약 290여 종
  • 지원신청 매뉴얼
  • APC 적용가능 저널리스트
MDPI
  • 유형 : 저널 구독 기관 할인
  • Multidisciplinary Digital Publishing Institute (MDPI) 발간 저널에 논문 투고 시 논문 출판비용 10% 할인
  • 우리 대학은 기관회원으로 가입되어 교내 IP 주소를 기준으로 인식됨
  • MDPI OA 저널MDPI OA 안내 
  • MDPI의 학술지 일부는 부실학술지 논란의 소지가 있어 투고 시 유의 (참고 : 연구윤리정보포털)
PNA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 유형 : 저널 구독 기관 할인
  • PNAS 학술지에 'Immediate Open Access'로 출판 시 논문 출판비용 확인
    • 별도의 증빙서류 불필요, 출판 프로세스에서 소속기관이 확인되면 할인이 적용됨
    • 모든 PNAS 아티클은 6개월이 지나면 OA로 전환됨
  • Publication Charges 안내 페이지

Rockefeller University Press

(2023년 신규지원)

  • 유형 : 저널 구독 기관 할인
  • RU Press 저널에 오픈 액세스로 논문 투고시 논문 출판비용 무료
    • 투고 방법 : 각 저널 사이트(JCB/JEM/JGP) 접속 → Submit → Submit a Manuscruipt
    • 논문 제출 시 ROR ID 기입을 통해 기관 소속이 인증됨 (ROR ID 확인)
    • 각 사이트 Submit 탭 하단의 Instruction for Authors에서 출판 관련 절차 확인 가능
  • 대상저널 : RU Press 저널 3종 (Journal of Cell Biology, Journal of Experimantal Medicine, Journal of General Physiology)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실현

연구자는 오픈 액세스 학술지에 자신의 논문을 투고하고,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자신의 연구 성과물을 기탁한다.

  • 논문 집필을 완료하면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우선적으로 논문을 투고한다.
  • 비오픈액세스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할 경우, 투고요령에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를 통해 아카이빙을 허용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요구한다. 발표된 논문은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기탁할 것을 주장한다.
  • 자신의 논문, 연구보고서, 세미나 자료 등을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기탁한다.

 

정부/공공기관은 오픈 액세스 거버넌스 조직 구성을 통해 오픈 액세스 활동을 지원한다.

  • 오픈 액세스를 위한 정보공유 운동 및 정책 연대를 조직한다.
  • 국내 지식정보의 공공접근 의무화를 법제화를 추진한다.
  •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 구축 및 오픈 액세스 학술지 발간을 지원한다.

 

출판사/학회는 오픈 액세스 정책을 수용하고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 성과물을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기탁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 오픈 액세스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명문화하여 공지한다.
  •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를 채택하여 저자와의 권리관계를 명시한다.
  • 저자들이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논문을 기탁하고자 할 때 이를 허용한다.

 

도서관은 오픈 액세스 옹호활동을 통해 학술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기여한다.

  • 기관 리포지터리 이용을 통해 연구 성과물의 장기보존 및 유통책무를 준수한다.
  • 연구자의 연구 영향력 평가를 지원함으로써 인용률 향상에 기여한다.
  • 오픈 액세스 정보자원 발굴 및 연계를 통한 정보이용 활성화에 기여한다.

< http://www.oak.go.kr/about/aboutOak.do?menuSeq=80 / 2019.11.19 열람>

 

오픈 액세스(Open Access) 모델

그린(green) 오픈 액세스 : 셀프 아카이빙

그린 오픈 액세스 모델에서는 저자가 구독 형식의 저널에 출판함과 동시에 논문을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셀프 아카이빙(Self-Archiving)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저널은 유료이지만 연구자는 리포지터리(Repository)를 통해 논문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저자가 오픈 액세스 출판에서 출판 비용을 낼 수 없을 때 이 경로를 많이 택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리포지터리에 게재되는 논문들은 동료심사를 거치지 않은 경우가 많고 다른 곳에서 동료심사 과정을 따로 거쳐 출판 또는 공개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 모든 구독 저널이 논문의 리포지터리 게재를 허용하고 있지는 않으므로, 논문을 제출하고자 하는 저널이 셀프 아카이빙을 지원하고 있는지 미리 확인해 보고, 셀프 아카이빙 전에 저널의 허가를 구하는 것이 좋다.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는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리포지터리와 독립 리포지터리가 있고, bioRxiv, Nature Precedings, PubMed Central처럼 특정 주제에 한정된 곳과 arXiv, Global Open Access Portal, Zenodo처럼 여러 분야를 포괄하는 곳이 있다. OpenDOAR에서 제공하는 리포지터리의 목록에서 원하는 리포지터리를 찾을 수 있다.

리포지터리에 셀프 아카이브 될 수 있는 논문에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 종류가 있다. 논문이 동료심사를 받기 전 저자가 가지고 있던 미수정 논문인 출판 전 임시 인쇄본(PrePrint)과 동료심사를 받은 후 그에 대한 피드백 안이 적용되었으나, 저널이 출판용으로 서식을 완성하기 전 버전, 그리고 저널 발행본이나 온라인에서 볼 수 있는 서식으로 완성된 최종 PDF 버전의 논문 등이 있다.

 

골드(gold) 오픈 액세스 : 오픈 액세스 저널

골드 오픈 액세스 모델에서는 오픈 액세스 저널이 독자에게 동료심사가 이루어진 논문에 대한 무료 이용을 허용하나, 논문 출판 비용(Article Processing Charge, APC)은 저자에게 부과한다. 많은 경우에 저자의 소속 기관이나 연구지원 기관 등에서 부담하는 것이 보통이나 골드 오픈 액세스 정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출판비용에 대한 상세한 규정이나 정책 등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많은 대규모 출판사에서 오픈 액세스 출판 옵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PLOS(Public Library of Science)와 같이 순수 오픈 액세스인 저널도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과 동시에 올바르지 못한 약탈적(predatory) 저널도 문제가 되고 있으므로, 연구자들은 오픈액세스 저널 디렉터리 (DOAJ)와 같은 주요 오픈 액세스 저널 디렉터리를 통해 각자의 분야에서 적절한 오픈 액세스 저널을 찾기 위해 확인 작업이 필요하다.​

< http://www.cre.or.kr/board/?board=thesis_articles&no=1389285 / 2019.11.19 열람 >

 

오픈 액세스 저널(Open Access Journal) 종류

완전형 오픈 액세스 저널 (Fully Open Access Journal)

  • 출판되는 모든 논문이 저널 웹사이틀르 통해 무료로 제공되는 저널 자체가 오픈액세스 형태인 저널
  • PLOS(Public Library of Science) – 대표적인 비영리 오픈액세스 저널 출판사로 논문출판비용을 저자 및 연구지원 기관에 부과하고 이용자들에게 무료로 논문 제공
  • BioMed Central – 생명공학 및 의학 분야 대표적인 오픈액세스 저널 출판사

 

하이브리드형 오픈 액세스 저널 (Hybrid Open Access Journal)

  • 구독기반 저널 중 오픈 액세스 출판 옵션을 제공하는 저널로 주요 상업 출판사 및 학회 출판사에서 해당 옵션 제공

 

지연형 오픈 액세스 저널 (Delayed Open Access Journal)

  • 구독기반 저널 중 일정 기간 동안은 논문을 유료로 제공 후 오픈 액세스로 전환하는 저널
  • 유료로 논문을 제공하는 기간을 엠바고(embargo) 기간이라고 칭하며, 보통 6개월~12개월 설정

< http://www.cre.or.kr/board/?board=thesis_articles&no=1389285 / 2019.11.19 열람 >

 

 잘못 알고 있는 오픈 액세스 저널(Open Access Journal) 상식

오픈 액세스 저널은 동료심사를 전혀 거치지 않는다?

동료심사를 거치지 않는 오픈 액세스 저널도 있으나, 대부분의 OA 저널은 기존의 구독형 저널과 유사한 동료심사 과정을 거친다. 인덱스 작업을 위하여 저널을 평가할 때 동료심사 내용이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임펙트 팩터를 가진 모든 오픈 액세스 저널은 엄격한 심사 과정을 보유하며, “오픈 액세스”라는 말은 단지 출판된 자료의 사용 가능성을 언급하는 것이다.

 

오픈 액세스 저널은 기존 구독형 저널보다 질이 떨어지는 저널이다?

오픈 액세스 저널은 종종 출판될 수 없는 내용이 올려지는 것으로 생각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많은 오픈 액세스 저널은 해당 분야의 선두 저널로 인정받는 경우도 많으며 높은 임펙트 펙터(IF)를 보유하고 있다.

 

오픈 액세스 논문은 저작권(Copyright)이 보호되지 않는다?

어떤 연구자들은 오픈 액세스 논문의 모든 내용은 저작권이 보호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실제로, 오픈 액세스는 주로 저작권을 출판사에게 넘기지 않고 저자 자신이 갖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 구독형 저널에 출판한 저자가 자신의 글이나 도표 등을 수업을 위해 재사용하고자 할 때 허락을 받아야하는 경우가 있으나, 오픈 액세스 저널에서는 원저자를 적절히 인용하기만 하면 모든 내용을 허락 없이 재사용할 수 있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스(Creative Commons) 라이센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연구자의 논문은 정당하게 인정받고 최대로 널리 보급될 수 있게 된다.

 

오픈 액세스는 단순히 유행(passing fad)에 불과하다?

어떤 연구자들은 오픈 액세스 저널이 일종의 트랜드이며 기존 출판 방식에 비교할 수 없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최근의 오픈 액세스에 관한 자료 조사 내용을 살펴보면, 매달 더 많은 오픈 액세스 저널이 시작되어 2012년 12월에 DOAJ에 등록되었던 저널이 98개에서 현재에는 8,602개로 증가하였다. PLOS ONE같이 널리 알려진 오픈 액세스 저널의 경우에는 전례 없는 성장을 보이고 있는데, 현재 하루에 70편이 넘는 저널을 출판하고 2011년에 출판된 저널이 총 14,000편이 넘는다.

PLOS ONE의 성공에 힘입어 그 이후에 새로이 나온 오픈 액세스 저널들로는 Scientific Reports (www.nature.com/srep), BMJ Open (British Medical Journals group, bmjopen.bmj.com), PeerJ (peerj.com), 그리고 eLife (a joint venture of the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the Max Planck Institute, and the Wellcome Trust; www.elifesciences.org)등이 있다. 또한 미국 국립보건원(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과 같은 기관에서 기금을 받아 연구한 논문은 일반 대중이 공유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것을 의무화했고 하버드 대학을 포함한 개인 연구 기관의 내용도 공개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주요 출판사와 기관, 그리고 연구지원기금 단체의 주요 관심이 새로운 오픈 액세스 모델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오픈 액세스는 독자에게만 좋고 저자에게는 좋은 점이 없다?

흔히들 오픈 액세스 저널은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이타적인 노력이라고만 생각하기 쉽다. 오픈 액세스가 무료로 연구 내용을 공개함으로써 독자에게 커다란 이점을 제공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연구자에게도 좋은 점이 있다. 배포가 쉽고 가시성(visibility)이 높기때문에 인용 횟수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 http://www.cre.or.kr/board/?board=thesis_articles&no=1389285 / 2019.11.19 열람 >

 오픈 액세스 저널(Open Access Journal) 선택 기준

 

많은 연구자들은 자신의 소중한 연구 논문을 OA 저널 방식으로 출판할 것인가 아니면 이미 익숙한 기존의 구독저널 방식으로 출판할 것인가를 심각하게 고민할 수 있다. AJE(American Journal Experts)에서는 이에 대한 올바른 결정을 내리기 위해 가시성(visibility), 비용(cost), 명성(prestige), 그리고 출판 속도(speed)를 고려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가시성(Visibility)

논문을 OA 저널로 출판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접할 수 있는 독자들이 더 많아지므로 보다 많은 독자가 접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한 연구에 의하면 OA 논문의 경우 구독형 접근 논문에 비해 전체 내용 다운로드는 89%가 높고, PDF 다운로드의 경우에는 42%, 그리고 정기 독자의 경우에는 23%가 높다고 밝히고 있다. OA 출판물이 널리 배포되어 읽힐 수 있다는 것이 실제로 나의 연구물 출판 형태에 대한 의사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아니고, 많은 독자가 저널을 보았다고 해도 인용 여부와는 다를 수 있으나, 오픈 액세스를 통해 넓은 독자층을 확보함으로써 잠재적 협업 연구를 쉽게 해줄 수 있다. 또한 OA 저널의 데이터는 비싼 저널 구독료가 부담되는 일반 대중이나 교육자들에게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비용(Cost)

투고 시점에서는 기존 구독 방식의 저널이나 OA 저널이나 적은 비용이 들어가는 것은 비슷하나, 출판 승인 이후의 비용에서 큰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 저널에서는 논문의 페이지 당 그리고 도표당 비용을 청구하나 OA 저널의 경우에는 일괄적으로 논문 편당 저렴한 논문 출판 비용을 내며 이 또한 저자 개인 대신 연구 기관이나 연구비 지원 기관이 지불하는 경우가 많고 재정적 형편에 따라 면제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고려해야 하는 비용이 구독료인데, 어떤 학술지에서는 모든 논문의 온라인 접근 비용으로 매우 큰 금액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구독료 부담으로 인해 일부 도서관에서는 구독을 포기하기도 하여 독자와 저자 모두에게 궁극적으로 손해가 가는 일이 초래되기도 한다. 실제로 비싼 구독료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 하버드 대학에서는 학술논문을 오픈 액세스 저널로 투고하거나 적정한 구독료를 받는 저널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명성(Prestige)

OA 저널에 투고하는 것을 주저하는 연구자 중에는 해당 OA 저널이 해당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는 이유 때문인 경우가 많다. 실제로 과학과 인문·사회 분야의 저자가 OA 저널로 출판하지 않는 가장 대표적인 이유가 OA 출판의 질적인 측면에 대한 의심이다. 실제적으로 많은 OA 저널이 신생 저널이고 임팩트 팩터를 받지 못한 경우도 많다.

그러나 높은 임팩트 팩터를 가진 OA 저널도 많이 있는데, 실제로 생물학 분야의 PLOS Biology, BMC Biology, 그리고 PLOS ONE은 IF에서 각각 1위, 4위, 그리고 10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PLOS Computational Biology, BMC Systems Biology, 그리고 BMC Bioinformatics은 수리계산 생물학 분야에서 각각 1위, 3위 및 4위를 차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진, 교수직 임명, 연구비 수주를 위한 계획서 등에 대한 기회를 확보하기 위하여 아직도 “브랜드 명”의 위력을 무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출판 속도(Speed)

많은 연구자들이 출판하고자 하는 저널을 선택할 때 “승인에서부터 출판”까지 걸리는 시간이 “투고에서부터 첫 번째 판정”까지 걸리는 시간과 더불어 중요한 요소라고 말한다. 당연히 모든 동료심사를 거치는 저널 출판에서는 투고에서부터 승인, 그리고 출판되기까지 어느 정도의 지연시간이 존재한다. 특별히 연구 분야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의 지연된 발표로 인해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

전통적인 지면으로 출판하는 저널의 경우에는 논문 기사들을 묶어 정리해야 하고, 지면상의 사정으로 출판 가능한 논문들이 다음번으로 미루어질 수도 있으며, 저널의 실제 인쇄 및 배포에 드는 시간이 필요하다. 많은 OA 저널에서는 보다 신속한 출판 과정을 강조하고 있는데, 실제로 Scopus 인용 색인에 제시된 135개의 저널을 검토한 결과 승인에서부터 출판까지 걸린 시간이 전통 출판 방식의 저널에 비해 현격히 짧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출판 속도가 출판할 방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면 OA 저널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결정일 수 있다

< http://www.oak.go.kr/about/aboutOak.do?menuSeq=80 / 2019.11.19 열람 >

 

 출판사 저작권 정책

SHERPA/ROMEO : 전 세계 출판사별 셀프 아카이빙 정책 확인

 

  • 전 세계 출판사의 오픈액세스 정책을 수집하여 제공하는 온라인 리소스로, 저널별 출판사의 저작권 정책 및 셀프 아카이빙 정책을 요약하여 제공함
  • 제출된 연구 논문 (Pre-Print, Post-Print)의 출판사별 아카이빙 정책을 4개의 컬러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음
  • 단 출판사별 기본 정책과 출판사 발행 개별 저널의 세부 정책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개별 저널의 셀프 아카이빙 정책을 확인해야 함

Green : Pre-Print, Post-Print 혹은 출판사 버전 모두 허용

Blue : Post-Print 및 출판사 버전만 허용

Yellow : Pre-Print 버전만 허용

White : 아카이브를 허용하지 않음

KJCI : 국내 학회 출판 저널의 저작권 정책 확인

 

  • 국내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의 저작권 정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orea Journal Copyright Information)
  • 국내 학술지 출판사의 학술지 저작권 정책 명문화 및 학술지 저작권 정책을 다양한 유형의 이용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적법한 범위 내에서 학술지 논문 활용도 상승을 목적으로 함
  • 논문 투고 및 이용 시 명확한 이용지침으로 활용 가능하며, SHERPA/ROMEO에 국내 학술지 저작권 및 오픈액세스 정책 등록

Green : Pre-Print, Post-Print 허용

Blue  : Post-Print만 허용

Yellow : Pre-Pirnt 버전만 허용

White : 아카이브를 허용하지 않음

Gray  : 검토중, 비공개, 무응답, 기타

※ Pre-Print : 출판 전 논문, 동료 심사(peer-reviewed) 및 편집을 거치지 않은 상태의 논문 초고

※ Post-Print: 출판 후 논문, 동료 심사(peer-reviewed) 및 편집이 완료된 최종본 상태의 논문

< https://library.unist.ac.kr/ko/research/oa/#COPYRIGHT / 2019.11.19 열람 >

 출판사별 오픈 액세스 옵션 및 정책

출판사 내  용
BioMed Central & Springer Open
Brill Publishing Journals
  • Brill 출판사 발간 오픈 액세스 저널에 게재 가능
  • Brill OA 저널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ambridge University Press의 270여종 하이브리드 및 20여개의 Full 액세스 저널에 게재 가능
  • CUP OA 저널
Emerald
Oxford University Press
  • Oxford University Press 발간 오픈 액세스 저널에 게재 가능
  • OUP OA 저널
Royal Society of Chemistry
  • Royal Society of Chemistry "Read and Publish" 하이브리드 오픈 액세스 옵션을 제공
  • RSC OA 안내
SAGE
Taylor & Francis
Wiley
  • Wiley 출판사 발간 오픈 액세스 저널에 게재 가능
  • Wiley OA 안내

 

 해외

플랫폼 내  용
arXiv

수학, 물리학, 전산학 분야 OA

국가라이선스 DB로 RISS에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24시간 무료이용)

BioMed Central

의학, 생명과학 분야 OA

CiteSeerX

컴퓨터공학, 정보학 분야 아카이빙 리포지터리

Cogprints

전 주제 분야의 아카이빙 리포지터리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전 주제 분야 OA

국가라이선스 DB로 RISS에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24시간 무료이용)

DSpace@MIT

MIT의 아카이빙 리포지터리

e-Lis

도서관학, 정보학 분양의 아카이빙 리포지터리

ERIC

교육학 분야 OA

NCSTRL

컴퓨터공학 분야의  아카이빙 리포지터리

OAIster

전 주제 분야 OA

Persée Portail

프랑스 인문학 분야 OA

국가라이선스 DB로 RISS에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24시간 무료이용)

PhilSci

철학 분야의 아카이빙 리포지터리

PLoS

과학 분야 OA

PubMed

의학 분야 OA

RepEc

경제학 분야 아카이빙 리포지터리

 

 국내

플랫폼 내  용
KOAR

국가 오픈액세스 플랫폼(KOAR : Korea Open Access platform for Researchers)

KISTI 제공 국내 연구자를 위한 오픈 액세스 이용, 출판, 공유, 모니터링 플렛폼

KOASAS

KAIST의 과학기술 분야 아카이빙 리포지터리

KoreaMed Synapse

의학 분야의 아카이빙 리포지터리

OAK Central

전 주제 분야 OA 아카이빙(국립중앙도서관)

OAK Portal

전 주제 분야 국내 기관 리포지터리 통합검색 서비스(국립중앙도서관)

 

OA 출판 지원 문의

중앙도서관
Research Commons

  02-961-0079

  khsd3016@khu.ac.kr